B형 간염 증상·원인·치료

간 건강은 평소엔 잘 느껴지지 않지만, 문제가 생기면 회복이 쉽지 않아요.
특히 B형 간염은 감염 초기에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서 모르는 사이 만성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.
B형 간염이란?
B형 간염(B형 Hepatitis) 은 B형 간염 바이러스(HBV) 감염으로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.
이 바이러스는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염되고, 감염되면 간세포가 손상되어 간 기능이 저하됩니다.
감염 후 6개월 이내에 회복되는 경우를 급성 B형 간염,
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B형 간염이라고 합니다.
우리나라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도 B형 간염 보유자 비율이 높은 나라에 속하며,
성인 간경변증이나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.

B형 간염의 주요 증상
B형 간염의 가장 큰 특징은 무증상 감염이 많다는 것이에요.
즉, 감염돼도 자각 증상이 거의 없거나, 단순 피로감 정도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간염 증상이 있습니다
- 심한 피로감과 무기력감
몸이 무겁고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풀리지 않아요. - 식욕 저하, 구역, 구토
음식 냄새만 맡아도 메스꺼움을 느끼기도 합니다. - 오른쪽 윗배 통증
간이 위치한 부위가 묵직하거나 통증이 느껴짐. - 소변 색이 진한 갈색으로 변함
간 기능 저하로 빌리루빈이 증가하면서 소변색이 진해집니다. -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래지는 황달 증상
대표적인 간 기능 이상 신호입니다. - 발열, 관절통, 근육통
급성기에는 몸살처럼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급성 B형 간염의 경우 보통 수주~수개월 내에 회복되지만,
만성으로 진행되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.



B형 간염의 원인과 전염 경로
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(HBV)가 원인입니다.
이 바이러스는 외부 환경에서도 비교적 강하게 생존해 전염성이 매우 높아요.
주요 전염 경로👇
1️⃣ 혈액 전파 – 주사기 재사용, 문신·피어싱 시 비위생적 도구 사용, 수혈 등
2️⃣ 성 접촉 – 감염자의 체액(정액, 질 분비물)을 통한 감염
3️⃣ 수직 감염 – B형 간염 보균 어머니로부터 신생아로 전염
4️⃣ 상처나 체액 접촉 – 면도기, 칫솔, 손상된 피부를 통한 감염
일상적인 스킨십이나 식기 공유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.
즉, 같이 식사하거나 포옹하는 것은 안전해요.
B형 간염의 치료 방법
B형 간염 치료는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누어 접근합니다.
🔹 급성 B형 간염
대부분의 성인은 면역력이 강해 자연 회복됩니다.
-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는 필요 없지만,
휴식, 영양 관리, 수분 섭취가 매우 중요해요. - 단, 간 기능이 심하게 떨어지면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.
🔹 만성 B형 간염
6개월 이상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상태로,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대표적인 약물 👇
- 엔테카비르(Baraclude)
- 테노포비르(Viread, Vemlidy)
이 약들은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해 간 손상을 막아줍니다.
하지만 완치보다는 바이러스 활동을 장기적으로 억제하는 치료가 목표예요.
만성 환자는 정기적으로 간 기능 검사, HBV DNA 검사, 간초음파 등을 받아 간암으로의 진행을 예방해야 합니다.
B형 간염의 합병증
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,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만성 간염 → 간섬유화 → 간경변증(간이 굳는 질환)
- 간경변이 심해지면 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아요.
- 또한 복수, 황달, 의식 저하(간성혼수) 등의 위험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B형 간염 보균자는 꾸준한 관리가 생명입니다.
B형 간염 예방법
B형 간염은 예방접종만 잘해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병이에요!
1️⃣ B형 간염 백신 접종
- 출생 직후부터 0, 1, 6개월 간격으로 총 3회 접종
- 성인도 항체가 없는 경우, 3회 접종으로 예방 가능
- 항체 검사는 병원에서 간단히 혈액검사로 확인 가능
2️⃣ 청결한 주사기 사용
- 문신, 피어싱, 수액 등은 반드시 멸균된 기구 사용
3️⃣ 안전한 성생활
- 콘돔 사용은 체액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.
4️⃣ 보균자 관리
- 가족 중 B형 간염 보균자가 있다면, 항체 유무 검사 및 예방접종 필수!
마무리 요약
요약하자면,
👉 원인: B형 간염 바이러스(HBV) 감염
👉 증상: 피로, 황달, 구토, 진한 소변, 복통
👉 치료: 급성은 휴식과 관리, 만성은 항바이러스제 치료
👉 예방: 백신 접종 + 위생관리 + 안전한 생활습관
B형 간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이에요.
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피로감이 심할 땐 꼭 한 번 B형 간염 항원·항체 검사받아보세요!